• KLAS 종합정보서비스
  • 발전기금
  • WEB-MAIL
  • SITEMAP
  • Search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미디어엔터테인먼트전공

미디어엔터테인먼트전공은 다양한 미디어 이론 교육과 관련 실습 교육을 통해 이론과 제작 실무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신문사, 방송사의 기자·PD뿐만 아니라 대기업, 광고회사, 정부기관 등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및 매체 홍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위치 : 한울관 111호

학과문의 : 02-940-5370

팩스번호 : 02-918-3258

홈페이지 : https://www.kwmedia.info/

교과목안내

교과목 안내

방송영상론 Understanding Broadcast and Visual Media

본 강의는 현대사회의 핵심 제도로서 방송영상미디어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정립시키는데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강의는 기술, 시장, 산업구조, 재원 및 경영, 이용자 등 방송영상미디어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주요한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제도로서 방송영상미디어가 기능하는 방식과 그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룬다. 특히 디지털 융합(digital convergence)으로 표현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방송영상미디어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가 방송영상미디어 생태계에 만들어내고 있는 파괴적 혁신과 새로운 트렌드들을 소개한다.

광고PR과전략커뮤니케이션 Introduction to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for Strategic Communication

전략 커뮤니케이션 전공에 관한 입문 과목. 광고와 PR 전략의 사례와 의제들에 관해 논의한다. 미디어 및 크리에이티브 전략 : 정부, 기업, 그리고 비영리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광고 및 PR의 기능; 마케팅 및 공공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역할; 경제적 사회적 영향; 광고 및 홍보 대행사 및 관련 직업들; 성공한 캠페인 사례 등.

인터랙티브커뮤니케이션개론 Introduction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인터랙티브미디어커뮤니케이션 개론'은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기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사람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혁신적 테크놀로지, 사용자, 환경, 그리고 급변하는 사회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수업의 목표입니다. 강의와 토론을 통해 테크놀로지가 사회, 정치, 경제,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학생들은 주요 테크놀로지의 이해와 응용 능력을 키우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역량을 개발합니다. 이 수업은 단순한 기술 학습을 넘어,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사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할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대중영화의이해 Understanding Popular Film

제2차 세계대전에서부터 오늘날 테러와 같은 글로벌 전쟁에 이르기까지의 미국 대중 영화의 역사를 다룬다. 영화 분석을 통해 이데올로기와 그것이 민족주의와 인종, 성, 성적 관심(섹슈얼리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전략커뮤니케이션트렌드 Trends in Strategic Communication

본 과목은 커뮤니케이션의 트렌드를 소개하고 토의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수강생들은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소통 감각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이는 향후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성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입니다.

미래시나리오전략기획 Strategies for Future Scenario

빠르게 변하는 시장에서 보다 지속가능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앞서갈 시대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신제품이나 유행에 민감한 브랜드나제품 및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전략 기획에 필수적이다. 심화된 전략기획을 하기 전에 폭넓고 다양한 상상을 가능하게 하고 시각의 지평을 넓혀 보다 추후 실행하게 될 구체적 전략의 방향을 잡아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빅데이터와커뮤니케이션 Big Data & Communication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 졌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시대적 트렌드로 대두했다. "빅데이터 시대"에 과연 어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가능해졌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찰한다.

광고심리 Advertising Psychology

광고, 미디어, 브랜드, 소비자와 관련한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광고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를 설득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광고PR평가전략 Insights and Analytics for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효과적인 광고, 마케팅, PR 전략 수립의 기반이 되는 소비자 조사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소비자 인식 및 태도 조사에서부터 광고PR 캠페인에 대한 사전/사후 효과 측정에 이르기까지 광고PR과 관련하여 활용되는 다양한 양적, 질적 조사방법에 대해 배움으로써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안한다.

논픽션미디어의이해 Understanding Non-Fiction Media

다양한 다큐멘터리 작품을 감상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식의 다큐멘터리를 이해하고 또한 다큐멘터리의 역사에 관해 배우게 된다.

미디어와젠더 Media and Gender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는 성의 문제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나타나는 현상들을 깊게 관찰하며, 그에 대한 다양한 가치와 사고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소설, 언론보도, TV프로그램, 광고, 영화, 인터넷 등 다양한 미디어영역에서, 언어, 영상 음향 등 복합적 감각과 정서를 매개로 구성되는 성의 문화들에 접근하고 해석할 것이다.

브랜드커뮤니케이션 Branded Communication

기업은 브랜드를 중심으로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그것이 제품 자체의 기능이 되었건, 다른 가치를 가지는 것이든 오래도록 신뢰받고 사랑받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이 수업에서는 브랜드 형성의 다양한 모델들을 익히고, 브랜드의 성장과 유지와 관련된 다양한 전략을 공부한다. 특히 최근 Branded entertainment와 같은 다양한 영역에 대해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아울러, 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두되는 다양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에 대해 연구한다.

뉴스와기자의미래 News & Journalist in the Future

이 수업은 기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기자가 하는 구체적인 일은 무엇인지 그리고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책임은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을 배웁니다. 그리고 기자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할 소양이 무엇인지를 살피고 이러한 역략을 갖추는 토대를 제공합니다. 또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화하는 새로운 형태의 저널리즘이 무엇인지를 소개합니다.

엔터테인먼트산업 Entertainment Industry

본 강의의 목표는 엔터테인먼트산업과 관련한 경제적 이슈들과 이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문화적.정책적 이슈들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강의는 엔터테인먼트산업의 독특한 경제적 특성과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사적기업으로서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운영되는 방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엔터테인먼트 경제학의 기본적인 개념들과 디지털화로 표현되는 기술발전이 엔터테인먼트산업에 가져 온 다양한 변화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근거기반캠페인전략 Developing Evidence-Based Campaign Strategies

학생들의 일상에서 사회적 변화가 필요한 이슈들을 개발하고, 관련 이론과 사례들을 기반으로 실천적 캠페인 전략을 수립한다. 사회심리, 설득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관련 이론에 대한 학습과, 추진하고자 하는 캠페인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근거탐색과 비판적 사고를 병행한다.

광고PR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Advertising and PR

광고홍보조사론은 광고와 PR 분야에서 활용되는 사회과학적 조사 연구 방법론을 학습하고, 이를 현실적 문제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목에서는 연구 문제 선정, 연구 설계, 설문지 작성, 샘플링, 데이터 수집 및 통계 분석 과정을 익힌다. 나아가 학생들은 광고 및 홍보 분야의 연구 문제를 직접 탐구하고 설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실질적인 연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실감미디어론 Immersive Media

실감형 미디어와 관련된 기초 지식과 이론을 학습하고, 2D/3D 게임 콘텐츠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 실감형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인터랙션 구현, 사용성 평가 등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디어문화론 Media, Culture and Society

대중문화현상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소개하고, 현대사회에서 대중문화 생산과 매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미디어의 문화적 기능과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는데 주요한 관심을 둔다. 특히 미디어 문화론은 이론적 지식을 다양한 미디어 문화현상들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훈련을 통해 미디어와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과 분석 능력을 길러주는데 주요 교육목표를 둔다.

소셜마케팅 Social Marketing

사회적으로 착한기업이 늘어가고 있다. 공익캠페인을 주업으로 하는 NGO, NPO 기업들도 증가세 일 뿐 아니라,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일반 기업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이를 전담하는 communication specialist들을 필요로 하고 있는 사회추세에 맞추어 전문가를 만들기 위한 입문과정이다.

뉴스비판과제작연습 Practicum of News Critics & Production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기자의 기본 활동을 직접 경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신문기사와 방송기사를 취재, 작성하여 온라인상에 게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뉴스 보도에 필요한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뉴스의 게이트키핑 기능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좋은 소식 쓰기의 스타일과 구조를 이해하고 인쇄 뉴스와 방송 뉴스의 차이점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책임 있는 저널리즘의 기초가 되는 윤리적 원칙을 이해하고 대안적 저널리즘에 대해 평가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미디어리터러시 Media Literacy

우리는 지금 누구나 미디어 콘텐츠의 생산자가 될 수 있는 시대, 심지어 기계마저 알고리즘에 따라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미디어 리터러시의 지식으로는 더 나은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제대로 해석하고 비판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에게 미칠 영향을 깊이 고려하지 않은 채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생산과 유통 행위에 우리 스스로가 관여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수업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부각되고 있는 여러 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법을 실제 미디어 이용 연습을 통해 찾아보고자 합니다.  

엔터테인먼트크리에이티비티 Entertainment and Creativity

본 과목은 다양한 문화산업의 가치를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창의력 높은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다층성을 파악하고 자신이 추구하는 영역의 전문지식을 함양하며 그 영역에서 독창적인 활동을 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문화다양성과커뮤니케이션전략 Cultural Diversity in Strategic Communication

본 강의에서는 문화차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에 대해 학습하고 그 사례를 미디어 콘텐츠, 광고, 교육, 인지, 교육 등 다양한 컨텍스트에 적용한다. 또한 다양성의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조성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한다.

캠페인인문학 Campaign Case Studies

본 과목은 우리 공동체 주변의 다양한 캠페인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러한 캠페인 사례를 대상으로 토론의 과정을 통해 함의점을 잦아가는 과목입니다. 캠페인 사례 연구는 대중의 문제와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 대중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및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에 자주 사용됩니다. 대부분의 사례 과제는 학생들이 개방형 질문에 답하거나 다양한 잠재적 솔루션을 사용하여 주어진 문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해법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아트매니지먼트 Art Management

본 교과목은 전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아트산업의 구조, 작가, 갤러리, 옥션사 등 주요 행위자의 역할과 특성, 경영 및 미디어 전략, 이용자 특성 및 취향, 그리고 관련 정책 및 법제도를 개괄적으로 다룬다.

디지털광고PR기획 Planning for Digital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디지털 광고PR의 기획 및 집행 과정에 대해 실무적 이해를 도모하며 미래의 전략커뮤니케이터로서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략커뮤니케이션과마케팅 Strategic Communication & Marketing

전략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은 기업 커뮤니케이션(예: 홍보, AD 등)이 사업 성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논의하는 과목입니다. 이를 위해 수강생들에게 다양한 관련 사례와 최신 PR 의제를 활용합니다.

디지털미디어사회의이해 Understanding the Digital Media Society

온라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한 정보사회의 현실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제반 사회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본다. 기술적 측면에서의 정보화가 아니라 정보화라는 기술에 의해 변화되는 사회의 모습과 그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게 된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창의적 대응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서와소비자행동 Emotion & Consumer Behavior

기술발달과 플랫폼의 발달로 소비자행동이 환경에 따라 많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 소비자심리나 행동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현상들을 밝히고 그 이해를 전략기획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 수업이다. 4차산업에서 필수적인 빅데이터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소비자 이해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광고와사회 Advertising and Society

오늘날 사회, 문화, 경제, 그리고 소비자의 삶에 대해 광고가 갖는 역할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광고 및 디지털 미디어와 관련된 최근 이슈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광고와 사회를 바라보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함양한다.

전략커뮤니케이션세미나 Strategic Communication Seminar

전략 커뮤니케이션 세미나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실행을 위한 실무 및 사례 분석 기반의 세미나임. 조직들은 공중과 신뢰를 구축하고 평판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해야 합니다. 수강생들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능력을 습득할 것입니다.

디지털미디어와여론 Digital Media and Public Opinion

이 수업은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되며 매 수업마다 달리 주어지는 주제에 대해 학생들은 토론을 통해 함께 답을 찾게 된다. 수업에서 다룰 내용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여론이 어떻게 형성, 변화 되어 가는 지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과 여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먼저 소개한다. 다음으로 실제로 여론이 형성되고 변화되는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을 직접 관찰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소셜미디어, 1인 미디어, 블로그, 케이블방송, 지상파, 인터넷 게시판, 댓글, 그리고 뉴스 포털에 대해 함께 토론하는 수업이다.

스몰데이터분석기획 Small Data Anayses

빅데이터 시대에 해결할 수 없는 과제 중 하나는 전략 기획을 위한 인사이트를 도출해 낼 디테일한 정보를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빅데이터 분석은 스몰데이터와 함께 고려되지 않는다면 자칫 중요한 오류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이다. 이 수업은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스몰데이터를 빅데이터에 접목시켜 전략적 시사점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뮤직비즈니스 Understanding Music Business

이 교과목은 뮤직 비즈니스의 구조, 다양한 이해관계자(아티스트, 매니저, 기획사, 음반사)의 역할, 음악 제작, 홍보, 유통 및 수익화 과정 등 대중음악 산업의 핵심 이슈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한다.

디지털 콘텐츠와 게임 Digital Contents and Game

이 교과목은 디지털 플랫폼, 소셜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게임 콘텐츠와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검토한다.

E-스포츠 E-Sports

이 교과목은 비즈니스 모델, 프로 게임 리그 구조, 선수 관리와 토너먼트 조직 등 빠르게 성장하는 e스포츠의 핵심 이슈들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와 미디어 소비 습관을 형성하는 데 있어 e스포츠의 역할을 분석하여 e스포츠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탐구한다.

미디어엔터테인먼트특강 Special Topics in Media Entertainment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특강은 미디어 산업과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최신 동향을 다루는 실무 중심의 교과목입니다. 학생들은 영화, 방송, 음악,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과 제작 프로세스에 대해 학습합니다. 이 과목은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의 성공적인 커리어를 준비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미디어와문화기획 Media and Cultue Planning

이 교과목은 미디어와 문화가 융합하며, 창의적 기획을 핵심요소로 발전하고 있는 현상을 탐구하고, 이에 독창적이고 혁신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엔터테인먼트, 문화산업, 대중문화, 대중예술, 현대예술과 미디어 기술 산업이 공존하는 다양한 분야를 폭넓게 학습한다.

엔터테인먼트비평 Entertainment Criticism

이 교과목은 나날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들을 깊이있게 이해하고 분석 및 해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사유하고, 그를 바탕으로 하여 창의적인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위험사회와커뮤니케이션 Risk Society and Communication

이 교과목은 지구적으로 팽배한 위험사회 안에서 현명하고 유능한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자질을 학습한다. 이는 위험을 관찰하여 이해하고 소통하며 이 과정에서 위험 해결 및 예방에 노력하는 능력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보다 나은 미래 건설을 위해 기여하는 미래지향적이며 조화로운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역할과 의미를 체득할 수 있다.

글로벌전략트렌드와영어연습 Reading Global Trends in Strategic Communication

본 강의에서는 기업, 캠페인, 광고 등 미디어에 보도되는 다양한 글로벌 이슈들을 영어로 접하고 연습하여 영문 텍스트의 즉각적 이해와 영어 말하기 능력을 배양한다.

사회심리이론실험 Exprimenting the Theories of Social Influence

본 강의는 사회영향이론(social influence)을 실험과 데이터 수집을 통해 탐구한다. 학생들은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직접 설계, 실행하고 결과를 시각화해 결론을 도출한다. 결론으로 부터 마케팅, 공공 캠페인 등 실제 상황에 적용가능한 전략을 도출한다.

전략커뮤니케이션리딩 Readings of Strategic Communication

이 강의는 전략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기본 이론과 원칙을 제시하는 고전과 홍보, 마케팅, 위기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맥락에서 뉴스 미디어에 보도된 사례 연구를 다룬다.

커뮤니케이션과한국사회 Communications and Korean Society

본 수업은 유학생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이론에 대한 이해를 넓히려 한다. 이를 통해 유학생들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한국사회를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미디어이론 Media Theory

본 수업은 유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에 관한 개념과 이론에 대한 이해를 넓히려고 한다. 이를 통해 유학생들이 현대사회에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사람과 기술, 너 때는 말이야! Human and Technology, Bang the Future!

‘사람과 기술, 너 때는 말이야!’는 AI를 중심으로 한 사람 중심의 기술 발전을 탐구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수업입니다. 이 강의에서는 AI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AI가 적용된 산업 등 AI 중심 기술들이 사회, 경제,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또한, AI 기술 발전의 윤리적, 사회적 측면을 논의하여 학생들이 AI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AI가 주도할 미래의 기술 발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AI를 기반으로 한 사람 중심의 기술 혁신이 가져올 변화와 도전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얻고, AI가 핵심이 될 미래의 기술적 환경에서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게 됩니다.

Gen-AI기반커뮤니티임팩트프로젝트 Gen-AI Driven Community Impact Project

'Gen-AI 기반 커뮤니티 임팩트 프로젝트'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Gen-AI를 활용해 지역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혁신적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이 수업에서는 특정한 주제를 다루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관심 갖는 주제라면 어떤 것이든 좋습니다. 다만, Gen-AI를 활용해야 하고, 커뮤니케이션 학부 수업에 적합한 이론과 실제 사례를 결합할 수 있는 주제여야 합니다. 가능한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실용적 주제에 기반한 프로젝트여야 합니다. 아이디에이션부터 데이터 생산에서 분석 등 모든 과정에서 Gen-AI 프롬프팅을 사용해 창의적 해결책을 도출하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커뮤니티 문제를 해결하는 전 과정을 경험합니다. 이 수업으로 학생들은 사회 혁신 프로젝트의 기획과 실행 방식을 이해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Gen-AI 기술을 습득합니다.

메타버스, 너 때는 말이야! Metaverse, Bang the Future!

‘메타버스, 너 때는 말이야!’는 미디어와 콘텐츠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대표하는 메타버스를 탐구하는 수업입니다. 현재의 미디어와 콘텐츠 변화를 분석하고, 확장현실 개념을 통해 메타버스의 다양한 사례를 학습합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한 실감형 콘텐츠의 등장과 새로운 경험의 확장을 고찰하며, “미디어를 이해해야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 전달 방식을 심도 있게 탐구합니다. 본 과목은 메타버스를 통해 변화하는 디지털 세상을 이해하고, 미래 미디어 환경에 대비하는 통찰력을 제공하며, 이론과 실제 사례 등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학습합니다.

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 Visual Communication Design

디지털미디어 콘텐츠제작에 필요한 기초적인 디자인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웹/모바일/디지털 영상/게임 등의 뉴미디어 관련 기획 및 제작에 필요한 기초 그래픽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디지털영상촬영및편집 Digital Video Shooting & Editing

영상제작 관련 기초과목으로 영상 이론을 토대로 Pre-production 과정인 영상 기획 및 구성, Production 과정에 해당하는 촬영, Post-production 과정으로 편집 등 영상 관련 기본 지식 및 실기를 학습한다. 디지털 영상 관련 과목들의 선수과목이다.

컴퓨터그래픽디자인 Computer Graphic Design

시각디자인 이론 및 컴퓨터그래픽디자인 실습을 심화 학습하는 과정으로 디자인 테크닉 및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 이론을 컴퓨터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현하고 디자인 분석 능력향상을 최종 목표로 한다.

커뮤니케이션과혁신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ICT-디자인-인문분야의 융합적인 사고를 통한 창의력과 팀워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다학제 융합 혁신가 배출을 목표로 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이 다학제적 팀을 구성하여 실제적 문제를 찾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전반적인 디자인씽킹 사고, 설계 방법론,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 등 다양한 방법론을 배우고 기획, 설계, 제작 등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경험하게 된다.

Gen-AI기반사용성평가 Gen-AI Driven Usability Evaluation

'Gen-AI 기반 사용성 평가'는 Gen-AI를 활용하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을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UX)을 개선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배우는 이론 기반 실습 수업니다. 이 수업은 전통적인 HCI와 UX 평가 방법론에 Gen-AI를 접목시켜,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면서도 인간 감성에 기반한 인사이트 있는 사용성 평가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수업의 모든 과정에서 Gen-AI 도구를 적극 활용합니다.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Gen-AI를 활용한 사용성 평가 방법을 직접 설계하고 실행하며, 그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도출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OTT미디어와데이터사이언스 OTT Media and Data Science

데이터사이언스 구현을 위한 필수요소들을 제공한다. 과학철학, 기초 확률/통계이론, 가설검증 원리에 대해 학습하고 R을 활용해 데이터 탐사 및 시각화, 데이터 종류에 따른 다양한 가설검증 방법들을 실습해 본다. OTT관련 데이터를 다룸으로써 학생들의 관여도를 높인다.

인터랙티브데이터시각화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데이터 시각화와 관련된 이론과 시각화 기법들에 대해 학습하고, 학생들이 직접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해내는 실무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론 강의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 정보디자인, 인포그래픽 등 데이터 시각화와 관련된 개념들과 인지심리학, 인간공학 등 인간의 인지적 구조에 대해 심도있게 학습하고, 이에 적합한 정보의 표현 방법 등을 학습한다. 실습 강의에서는 태블로, PowerBI와 같은 데이터 시각화 소프트웨어 툴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문제해결 기반 학습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모션그래픽이론및실습 Motion Graphic Theory & Practice

모션그래픽의 역사, 분야, 제작요소/기법에 대한 이론과 모션그래픽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어도비사의 애프터이펙트 제작기법 실습을 통해 실제적인 모션그래픽 영상의 아웃풋을 낼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APP디자인 APP Design

UI(User Interface) 디자인 실습을 통해 APP UI 디자인 목업과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Interactive Prototype)을 제작하는 과목이다. UX/UI 디자인 관련 기본이론을 학습하고 최신 UX/UI/APP 디자인 트렌드에 맞춰 APP 디자인 제작능력과 관련 소프트웨어 활용능력을 개발한다.

미디어데이터와머신러닝 Media Data and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법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소프트웨어(R/파이썬)를 활용해 다양한 머신러닝 테크닉(K-Means Cluster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Support Vector Machine, K-Nearest Neighbors, Naive Bayesian Classification, Decision Tree 등)을 직접 구현하고 평가한다.

UX/UI기획및제작 UX/UI Plan & Design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디자인을 기획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방법론을 학습하고, UX/UI 디자인을 심화하는 과목이다. UX 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기획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데이터기반UX디자인 Data-driven UX Design

기존의 정성적 사용자 조사 및 평가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데이터를 정량화하고 구조화하여 다양한 UX 디자인 방법론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관련 패키지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기법을 다루고, 실습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현실 문제를 정의하고 최종 결과물을 도출하는 문제기반학습을 수행하고자 한다.

Gen-AI기반커뮤니케이션캡스톤 Gen-AI Driven Communication Capstone

'Gen-AI 기반 커뮤니케이션 캡스톤'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Gen-AI 기술을 결합한 이론 기반 실습 수업입니다. 학생들은 Gen-AI를 활용하여 혁신적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실행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 분야(예: 저널리즘, 광고, PR, 콘텐츠 제작 등)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지만, Gen-AI기술을 사용해 텍스트, 이미지, 영상 제작 및 데이터 분석 등을 수행해야 하고,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 사례를 결합해야 합니다. 이 과목은 학생들이 Gen-AI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Gen-AI기반마케팅크리에이티브 Gen-AI Driven Marketing Creatives

'Gen-AI 기반 마케팅크리에이티브'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Gen-AI를 활용한 마케팅 캠페인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이론과 실제 사례를 결합하여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실용적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합니다. 이 수업은 Gen-AI 기술의 적극적 활용이 핵심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영상 제작, 소셜미디어 콘텐츠 기획 등 모든 과정에서 Gen-AI 프롬프팅을 사용해 창의적 결과물을 만들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며, 소셜미디어, 오프라인, 앱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통합 마케팅 전략을 수립합니다. 이 수업으로 학생들은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의 운영 방식을 이해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합니다. 이 수업은 Gen-AI로 인한 마케팅 분야의 변화를 선도적으로 경험하고, 미래 지향적 마케팅 전문가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실감미디어콘텐츠개발 Developing Immersive Media Content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메타버스(Metaverse)와 관련된 이론과 해당 콘텐츠 기획 방법을 학습하고, 실제 VR/AR을 접목한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의 전반부는 실감형 콘텐츠 관련 이론과 기초 프로그래밍을 바탕으로 한 개발 방법론을 학습하고, 강의 후반부에는 VR/AR 콘텐츠를 직접 기획 및 제작해보는 실습을 진행한다.

비주얼스토리텔링 Visual Storytelling

비주얼스토리텔링의 핵심요소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정보전달 방법을 활용한 콘텐츠 디자인 전략을 학습한다. 문제 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과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을 활용하여 기존 콘텐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다양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텍스트마이닝과미디어콘텐츠 Text Mining for Developing Media Contents

텍스트마이닝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 툴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고,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학습에 기반해 수강생의 관심에 따라 이를 캠페인, 마케팅, 광고, 저널리즘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콘텐츠 개발에 적용해 본다.

BI디자인 BI Design

기업/상품/서비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해 브랜드를 기획하고 개발, 프로그램하는 과목으로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BI 디자인을 학습한다.

엔터테인먼트기획실습 Entertainment Content Development

본 과목은 2학년 엔터테인먼트산업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크리에이티브팀(Creative Team)을 구성해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를 기획해 보는 기획방법론 수업이다. 본 수업은 교수의 강의와 문제기반(Problem-based) 및 팀기반(Team-based) 학습의 이원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포트폴리오워크샵 Portfolio Workshop

취업 관련 리서치와 기획을 통해 디지털 환경의 변화와 트렌드에 맞춰 취업 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포트폴리오(Digital Interactive Multimedia Portfolio)를 제작한다.

시각정보디자인 Visual Information Design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을 통해 데이터를 시각화(Data Visualization)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픽 및 영상을 디자인하는 실습 과목이다.

미디어플래닝 Media planning

광고 매체의 특성을 이광고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광고 매체 전략을 기획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 과정에서는 이론적으로 미디어 채널의 역할과 영향력을 분석하고, 실제 캠페인 기획과 실행을 통해 전략 수립 능력을 강화하는 법을 익힌다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광고 매체 전략을 기획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Gen-AI기반데이터분석과기획 Gen-AI Based Data Analysis and Message Creation

본 교과목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영역(미디어, 캠페인, 마케팅)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전략적 메시지 기획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기초 통계 이론, Chat-GPT 4o 프롬프트, 소프트웨어 운용 기초 (Python, Colab), 데이터 구축 및 분석, 데이터 기반 스토리텔링에 대해 학습한다.

담당부서 : 인문사회과학대학 교학팀 / 연락처 : 02-940-5785
교육 KW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