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AS 종합정보서비스
  • 발전기금
  • WEB-MAIL
  • SITEMAP
  • Search

스포츠융합과학과

2000년 신설된 스포츠지도자학과는 2006년 생활체육학과, 2019년 스포츠융합과학과로 학과명이 변경됐습니다. 스포츠융합과학과는 스포츠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가치의 증대로 인한 스포츠 산업의 육성과 전문 인력 및 전문지도자의 양적 및 질적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포츠와 관련된 지식, 정보, 문화를 기반으로 인문·사회 및 과학기술 분야를 융합하여 스포츠 과학의 발전과 우수한 전문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위치 : 옥의관 708호

학과문의 : 02-940-5206

팩스번호 : 02-940-0108

홈페이지 : http://sports.kw.ac.kr

교과목안내

교과목 안내

여가레크리에이션 Leisure Recreation

여가는 건강하고 즐거운 삶을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여가와 일의 관계를 분석하고, 미래의 여가 문제를 예측하며, 레크리에이션 학습을 통해 여가 사회의 본질과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오리엔티어링 1& 2 Orienteering 1 & 2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한 오리엔티어링 개념과 의미를 파악하고 야외교육의 활동영역을 대상별 장소별 종목별로 고찰하며 현장실습을 통하여 야외활동을 체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오리엔티어링 경기에 필요한 지식과 규칙을 습득하고, 이를 기초로 다양한 코스에서 실제 경기에 참여하여 지도 읽기와 나침반 조작법 등을 숙달하여, 향후 오리엔티어링 여가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운동발달 Motor Development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움직임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과 운동발달과 비운동 발달영역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이해하여, 대상과 목적에 적합한 운동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목적을 갖는다.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신체활동을 함으로써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 및 변화를 분석 조사하여 신진대사의 기전을 파악하고 운동 시 신체기능의 생리적 현상과 생리적인 적응 과정을 연구한다.

스포츠사회학 Sport Sociology

스포츠 현상을 사회현상으로 규정하여 이를 사회학적 이론과 연구 방법으로 설명하고 인간의 사회생활에 대한 구조를 연구한다.

스포츠및운동심리학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스포츠 심리학의 기초적인 이론과 스포츠 현장에서 대두되는 각종 문제의 특성을 심리학적 입장에서 규명하고 이를 적립할 수 있는 지식을 학습한다.

전공축구1 Major Soccer 1

축구의 역사와 기본기술 및 다양한 전술을 습득하여 축구 지도자의 자질을 함양한다.

운동기능해부학 Functional Anatomy of Human Motion

인간의 단순한 구조부터 복잡한 구조에 이르는 과정을 숙지하여, 신체 상해 및 장애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신체 변화에 대해서 이해하고,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학습한다.

라켓스포츠1 Racket Sports1

테니스, 탁구, 배드민턴 등 라켓스포츠의 기본 기술을 체득하고 경기규칙과 경기운영 방법을 학습하며, 라켓스포츠의 지도방법을 익힌다.

스포츠빅데이터 Big Data in Sports

스포츠 현장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정형, 비정형화 데이터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스포츠 데이터 수집, 분석, 해석 능력을 학습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스포츠 현장의 빅데이터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스포츠역학 Sports biomechanics

스포츠역학 수업은 학생들에게 인간의 움직임과 관련된 운동학과 운동역학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학생들은 다양한 스포츠종목에서의 운동기술향상과 상해예방의 목적에서 기초적인 생체역학 개념과 원리를 학습한다.

트레이닝방법론 Theory of Training Method

훈련을 통한 체력의 향상 및 운동처방 등에 관한 이론적인 체계화를 통하여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 Sport & Media

스포츠와 미디어에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토론 및 강의, 특강, 실습과정 등을 통하여 취재 기사작성 및 편집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스포츠 미디어 산업현장 분야의 진출 가능성을 탐색하고,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축구2 Major Soccer 2

전공축구1(기본기술 및 전술)의 심화화정으로 축구경기 심판법, 경기분석 방법을 다룬다.

운동학습및제어 Motor Learning & Control

효율적인 동작 학습을 위해서 효과적인 연습방법, 피드백 제공방법, 기억 그리고 동작학습의 기전을 다룬다.

라켓스포츠2 Racket Sports2

테니스, 탁구, 배드민턴 등 라켓스포츠의 기본 기술을 체득하고 경기규칙과 경기운영 방법을 학습하며, 라켓스포츠의 지도방법을 익힌다.

ICT와스포츠과학 ICT and Sports Science

ICT와 스포츠과학 수업은 기본적인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고 어떻게 스포츠과학 분야에 적용이 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스포츠측정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Sports

체육전반에 관한 지식을 이해하고 표준화된 체력검사, 체력, 운동소질 및 기능검사등 스포츠 활동의 영역을 측정하고 평가방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스포츠융합과학캡스톤설계 Capstone Design for Sports and Convergence Sciences

체육분야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연구문제 선정부터 보고서 작성과 관련된 절차를 단계별로 학습한다. 실제 실험 및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을 배우고 과제를 통해 이를 익힌다.

전공골프1 Major Golf 1

골프의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것부터 프로페셔널 한 것까지 큰 의미의 골프를 배울 수 있는 과목으로 골프라는 스포츠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부사항을 배움으로써 기존의 알고 있는 골프의 개념을 넘어서 다양하고 디테일한 큰 의미의 골프를 접할 수 있게 한다.

스포츠경영학 Sport Management

스포츠산업의 전반적인 현황을 이해하고, 스포츠산업에 관한 국내외 경영 환경요인들을 분석하며, 경영시스템, 마케팅, 생산관리, 인사ㆍ조직관리, 재무관리 등의 분야를 체계적으로 분석 및 학습한다.

스포츠영양학 Nutrition for Health, Fitness & Sports

일반인의 노화예방, 체중조절 등 건강과 관련된 영양학적 지식을 제공하며, 운동선수의 영양지침, 피로회복, 영양 보조물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워터스포츠 Water Sports

해양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에 대하여 기초부터 응용단계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인체보행및자세균형이생체역학적기초 Biomechanicla basis of Human gait and posture

보행 및 자세균형의 생체역학적 기초 수업은 인간의 보행과 자세에 관한 생체역학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보행 및 균형과 같은 인간의 이동을 위한 기능적 움직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스포츠복지와노인체육 Sport Welfare and Exercise for aging adult

스포츠과학과 사회복지학의 융합을 통해 스포츠 참여가 개인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스포츠손상및재활 Sports injury and Rehabilitation

각 스포츠 현장에서 전문 운동선수 또는 생활 스포츠 참여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손상에 대한 기전과 원리 및 증상증후, 그리고 손상의 회복 과정을 이해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을 학습한다.

전공골프2 Major Golf 2

골프의 기원 및 기본자세, 경기운영 및 방법, 에티켓, 규칙, 각종기술을 다룬다.

동계스포츠 Winter Sports

스키, 스노우보드 등 동계 스포츠 종목의 기본 기술과 응용 기술을 익히고, 경기규칙과 기본적 지식을 이해하여 실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경기를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스포츠카운슬링 Sport Counseling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일반인,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참여자들이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스포츠심리상담자)과의 개별적인 관계를 통하여 참여자들의 내부에서 새로운 학습과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활동을 한다.

스포츠산업학 Sports industry

스포츠산업이 주요한 비즈니스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스포츠산업의 발전, 스포츠산업의 본질, 스포츠산업의 현황 그리고 스포츠서비스 산업체의 경영 현황 등에 대한 다양한 사례와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및 국외 스포츠산업을 전반적으로 조망하고 개별 스포츠산업의 미래를 전망할 수 있도록 한다.

임상역학 Clinical biomechnics

임상역학 수업은 학생들에게 인간의 움직임과 관련된 기본적인 생체역학적 이해를 제공하며, 신체 근골격계의 구조적인 이해와, 각각의 신체 분절과 관절 움직임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학습할 수 있다.

스포츠컨디셔닝 Sports Conditioning

일상생활의 피로회복과 스포츠 활동 시에 발생되는 근육, 관절 등의 피로 및 상해에 대한 처치와 함께 예방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컨디셔닝 법을 익히고. 기능해부학을 기초로 피트니스 트레이닝의 원리, 신체부위별 트레이닝 방법, 스포츠 활동 및 트레이닝 후 피로 회복과 관리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습하여 효과적인 트레이닝 계획과 건강관리능력을 기른다.

현장실습1 Practical Training 1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문 지도기법을 익히고 지도자로서의 현장지도 능력을 학습한다.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관련된 전문 지식을 습득한다.

병태생리학 Pathophysiology

병리생리학(病理生理學)병의 현상(現象)을 생리학적(生理學的) 입장(立場)에서 연구(硏究)하는 학문(學問)이다. 질병에 대한 총론과 각 계통별 질환들의 병태생리와 병인, 병리적 기본 소견, 임상적 특징 등을 학습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장실습2 Practical Training 2

구청 생활체육과, 국민체육센터, 종목별 생활체육 연합회의 협조아래 현장지도 능력과 행정관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현장실습의 기회를 부여한다.

운동검사및처방 Exercise Test & Prescription

운동 처방의 의의, 목표, 방법을 이해시키고, 기초적인 실험 조작법과 실험 결과의 통계 처리 및 보고서 작성 능력을 지도한다. 또한, 종합설계방식을 적용하여 체육학 분야의 다양한 연구와 분석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며, 체육학의 특성을 반영한 양적(통계적)·질적 연구방법의 심층 분석과 실제 적용을 다룬다.

특수체육 Adapted Physical Education

장애는 다양함과 개성,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누구나 관심 있게 알아야 할 영역이다. 장애를 가지고 있더라도 인간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체육 및 스포츠에 관하여 폭넓게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담당부서 : 자연과학대학 교학팀 / 연락처 : 02-940-5201
교육 KW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