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AS 종합정보서비스
  • 발전기금
  • WEB-MAIL
  • SITEMAP
  • Search

스포츠상담재활학과

스포츠상담재활학과는 스포츠과학의 지식과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실용적인 전문 인력양성과 다양한 스포츠 현장에서 체계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응용 및 적용할 수 있는 실전형 전문인력을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기초이론, 검사 및 처방, 맞춤 운동, 질환 예방 및 재활, 스포츠상담심리, 스포츠 멘탈리티까지 통합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체육인은 물론 지역사회 구성원의 평생 건강을 선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위치 : 연구관 101호

학과문의 : 02-940-8492, 8493

홈페이지 : http://kwlife.kw.ac.kr/

교과목안내

교과목 안내

캠핑 및 아웃도어스포츠 Camping and Outdoor Sports

자연 속에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통해 야외 환경에서의 적응력과 생존 기술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캠핑 장비 사용법, 야외 요리, 지도 읽기, 텐트 설치, 그리고 다양한 아웃도어 스포츠(하이킹, 클라이밍, 트레일 러닝 등)를 직접 체험한다. 더불어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경 보호의 중요성도 배우며, 팀워크를 통한 협업 능력 또한 기르게 된다.

스포츠안전 및 응급처치 First Aid and Sports Security

스포츠 상황에서 안전은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부상 없이 스포츠를 하기 위해 우리는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알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응급처치란 갑자기 아프거나 다친 사람에게 즉시 처치를 취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익히고, 안전한 환경과 응급상황에 대한 기초능력을 갖추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위험 상황을 예방하고 필요할 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건강교육 Education of Health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많은 생활습관병에 노출되어 있고 이미 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는 사람들 또한 많다. 이러한 성인병은 운동 습관을 병행하게 되면 개선이나 예방이 가능하므로 본 교과목에서는 건강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 질병 예방 및 관리 등 다양한 건강 주제에 대해 다룬다.

스포츠피싱 Sports Fishing

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상호작용과 함께,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통합된 스포츠 이벤트 및 콘텐츠의 제작과 운영에 대해 다룹니다. 학생들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특징과 동향을 이해하고, 스포츠 이벤트 및 콘텐츠를 기획, 마케팅,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학습합니다. 또한, 스포츠를 통한 엔터테인먼트의 다양한 형태와 그 영향에 대해 고찰합니다.

트레이닝방법론 Theory of Training Method

트레이닝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정의를 학습하고, weight를 이용한 트레이닝을 통하여 기초체력 및 전문체력 육성에 중점을 두어 계획적인 강화훈련을 통하여 각 종목 선수들이 전문종목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스포츠수행심리학 Sports Performance Psychology

수행심리학은 운동 선수나 스포츠 팀이 경기나 훈련 중에 수행하는 활동과 관련된 심리적인 측면을 다루는 분야이다. 선수의 성격, 동기, 불안, 지도자리더십 등 선수의 심리상태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고 향상시킨다. 수행심리는 성과를 개선하고 성과를 최대한 끌어내기 위해 자신감 향상, 집중력 관리, 스트레스 대응, 목표 설정, 승부욕 조절, 부상 회복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전략과 기술을 사용해 선수 개인이나 팀의 경기나 훈련에서 최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요가&필라테스 Yoga & Pilates

요가와 필라테스의 기초 이론과 실천을 학습하여 학생들이 몸의 균형 및 몸과 마음을 조화롭게 발전시키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채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요가 동작과 숙련 기술을 배우며, 호흡과 명상을 통해 내면 평화와 안정성을 찾는 방법을 연구한다. 근력, 유연성, 균형, 자세, 호흡, 몸의 자각 등을 향상시키는 종합적인 운동 방법으로, 학생들은 이를 통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고 기능적인 움직임을 개발한다.

재활승마심리운동 Rehabilitation Horses Psychomotor

재활승마를 통해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치유와 발전의 기회를 제공한다. 동물, 특히 말을 매개로 한 심리운동 활동인 승마를 통해 자기 인식과 자기 통제력을 강화하고, 스트레스 관리와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론 강의와 실전 승마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심리운동의 원리와 승마의 재활적 효과를 체험하고 이해한다.

인체 및 기능해부학 Human Body and Functional Anatomy

인체의 기능해부학은 모든 운동 및 보건 의료 분야에서 적용하는 가장 기초적인 학문 중 하나이다. 인간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신체 체계(골격계, 근육계, 신경계, 순환계, 호흡계, 내분비계 등)의 해부학적 기본 구조와 이들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인체의 정상구조 및 기능을 이론적 강의를 통하여 해부학의 이해 및 습득시켜 필요한 기능적 지식을 주지시킨다. 이는 운동 훈련 및 재활에 대한 개발을 하는 데 중요하다.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인체계통의 구조적인 내용과 함께 기초생리학적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동에 따른 각 계통의 반응과 적응, 트레이닝과 관련된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학습자들에게 운동의 생리적 효과, 에너지 대사, 운동 성과에 대한 영향, 운동에 대한 적응과 조절, 운동과 건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운동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적응을 이해하여 운동 훈련 및 건강 증진에 적용할 수 있다.

운동영양학 Exercise Nutritional Science

건강과 질병에 대한 식품, 영양소, 그리고 그 속에 포함된 물질들의 작용과 균형에 대한 것을 다루고, 인간이 섭취하고 소화시키고 흡수, 운반, 이용, 배설하는 과정에 대해 배운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스포츠에 적용하고, 운동수행과 영양관리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특정 운동 유형이나 선수들의 개별적인 요구를 고려한 영양 전략에 대해 학습한다. 운동 성과를 최적화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영양 지식과 전략을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운동손상 및 재활 Motor Injury and Rehabilitation

스포츠 재활의학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스포츠 부상의 원인과 종류, 부상의 진단 및 치료 방법, 그리고 부상 회복 및 재활에 필요한 전략을 학습한다. 또한, 스포츠 부상의 예방과 관리, 재발 예방, 그리고 최신 치료 기술과 동향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 부상 환자의 종합적인 관리와 치료에 대한 전문 지식을 확보하고, 스포츠 재활의학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특수체육개론 Introduction to Adapted Physical Education

장애인, 노인, 유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체육의 발달과정, 관련 법규, 각종 스포츠 등을 종합하여 특수체육 대상자의 사회참여에 관한 영역을 다루고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체육 및 운동 프로그램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하는 과목이다. 이 과목은 특수체육의 역사, 이론, 이슈, 그리고 다양한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함께, 학생들이 특수체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전문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스포츠심리기술훈련 Sports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심리기술훈련은 개인이나 그룹의 심리적인 측면을 강화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훈련과정이다. 이는 인지, 감정, 행동 및 심리적 자원을 개발하고 조절하는 데에 도움을 주며, 성공적인 삶과 웰빙을 추구하는 데에 기여한다. 심리기술훈련은 인지행동치료, 마음의 정지, 스트레스 관리, 자기조절력 강화, 긍정적 자아강화 등 다양한 방법과 기법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심리기술훈련은 주로 정신건강 전문가나 코치와 함께 진행되며, 참여자의 요구와 목표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훈련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및 성장 가능성 활용 등 다양한 영역에서 도움이 된다.

승마 Horse Riding

승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운동으로서 신체의 평형성과 유연성을 길러 올바른 신체 발달과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전신운동이다. 먼저 말이란 어떤 동물이고 말의 의사표현과 행동 등을 이해하고 기초적인 승마 자세를 익혀 평보, 경속보, 속보, 구보를 현장에서 습득하도록 한다.

스포츠마사지 Sports Massage

근막통증 증후군과 근육통 등의 근육 질환은 많은 통증을 유발하고 있으나 현대 장비로 이상을 발견하기 매우 어렵다. 근육과 근막의 유착을 확인해 국소적 물리압박을 통해 혈류량을 늘려 대사를 촉진하고 관절부위의 윤활액을 촉진해 부드럽게 만들어줌으로써 통증을 완화하고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상에 대한 통증을 개선하고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스포츠 마사지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근골격계 측정 및 평가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Musculoskeletal System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측정 및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근골격계의 적절한 측정과 평가는 운동생리학, 재활 및 운동 치료, 스포츠 과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근육과 뼈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실무적인 기술을 제공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이 있다.

골프멘탈 코칭 Golf Mental Coaching

스포츠 상황에서 멘탈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경기의 판도를 뒤집을만큼 선수들의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동적인 스포츠보다는 정적인 스포츠에서 이러한 상황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며, 스윙과 비거리가 일정해야 유리한 골프 같은 종목에서는 더더욱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골프 선수들의 스트레스와 불안 관리를 통해 시합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강철멘탈’을 갖도록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명상, 긍정적 마인드셋, 자기효능감 강화, 경기 시뮬레이션 등의 심리기술을 익혀 골프 선수들의 성과를 최상으로 올릴 수 있다.

코칭론 Coaching Method

코칭의 이론과 실제 적용에 대해 학습하여 학생들이 개인 및 집단 코칭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한다. 코칭의 기본 원리와 기법을 이해하고, 심리학적 이론과 함께 현장에서의 코칭 실무를 연계하여 코칭 능력을 향상시킨다.

근골격계 재활운동 Rehabilitation Exercise of Musculoskeletal System

골격계의 구조, 기능, 재활운동의 원리와 실제 적용에 대해 학습한다. 근골격계의 이해와 재활운동의 개념을 토대로,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과 부상에 대한 평가와 치료 방법을 다룬다. 이 과목은 재활 전문가로서의 기초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학습된다.

기능훈련 Functional Training

기능훈련 과목에서는 기능훈련의 이론과 개념을 학습하여 운동과 기능적 능력 향상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해 운동기능 평가 도구와 방법을 습득한다. 그 다음으로는 근력, 균형 및 안정성, 유연성, 속도 및 민첩성과 같은 다양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방법을 학습하며, 특히 운동 기술의 향상을 위한 훈련에 중점을 둔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다양한 훈련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인의 목표와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훈련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기능적인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전략을 습득하게 된다.

운동조절 및 동작발달 Motor Control and Motion Development

운동조절은 신경시스템을 기반으로 자세조절, 가동성 및 팔 기능에 대해 발달, 정상, 비정상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이론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재활 중재 행위와 평가의 기초적 지식을 제공한다. 스포츠상황에서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상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동작 및 동작관련 요인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운동발달과 다른 발달영역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이해하며,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스포츠 현장에서 다양한 대상에게 알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스포츠컨디셔닝 Sports Conditioning

일상생활의 피로회복과 스포츠 활동 시에 발생되는 근육, 관절 등의 피로 및 상해에 대한 처치와 함께 예방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컨디셔닝 법을 익히고. 기능해부학을 기초로 피트니스 트레이닝의 원리, 신체부위별 트레이닝 방법, 스포츠 활동 및 트레이닝 후 피로 회복과 관리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습하여 효과적인 트레이닝 계획과 건강관리능력을 기른다.

스포츠헬스케어 비지니스 Sports Health Care Business

스포츠와 건강 관리 산업에 관련된 비즈니스 측면을 탐구한다. 스포츠헬스케어 산업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이해하고, 비즈니스 전략과 마케팅 원칙을 통해 학생들이 스포츠헬스케어 분야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한다. 또한, 스포츠 산업과 건강 관리 분야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산업 동향 및 기회를 파악하여 현실적이고 창의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병리학 Pathology

현대인들은 여가 스포츠를 하나씩은 즐기고 있다. 여가 스포츠 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부상 혹은 병리의 위험도 같이 늘어나고 있다. 병리학은 이러한 부상과 병리의 종류와 심각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병리학의 원리와 기술이 필요하다. 부상과 병리의 유형을 이해하고, 조직적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여 적절한 치료 및 재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병리학적 지식이 중요하다. 이처럼 병리학적 지식과 적절한 운동법의 결합은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고 치료를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운동감각과 지각 Sense and Recognition of Motor

심리운동의 기초단계인 감각과 지각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신체과정의 심화단계로 대상자를 연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인간이 동작을 생성하고 조절하는 기본 개념 및 기제를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동작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관한 이론과 연구 증거들을 소개한다. 운동 활동에서의 학습과 운동 행동의 제어를 통한 피드백 제공방법, 학습할 동작기술의 제시방법 등 효과적인 동작 기술의 습득 및 학습법을 설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운동 능력 향상, 운동 기술 개발, 운동 행동의 효율성 향상 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스포츠재활 프로그램 설계 Sports Rehabilitation Program Design

스포츠재활 프로그램 설계 과목은 다양한 스포츠 손상의 이해부터 시작하여 재활 평가, 목표 설정, 운동 치료, 기능적 훈련, 심리적 지원, 보호 장비의 사용, 예방 전략, 그리고 다양한 환경과 대상자에 대한 프로그램 설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을 다룬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스포츠 손상의 원인과 종류를 이해하고, 실제 환자의 상태에 맞는 효과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한다.

전공골프 Golf

골프 스포츠의 기초를 이해하고, 실전 기술을 배우며, 전략적인 골프 게임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학생들은 골프 스윙, 클럽 선택, 그린 리딩, 심리적인 접근 방법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골프 기술을 습득하고, 실전에서의 적용을 연습하게 된다.

스포츠재활 임상실습 Sports Rehabilitation Clinical Practice

스포츠재활 임상실습 과목에서는 운동재활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 실무적인 능력을 함양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스포츠 손상에 대한 평가 및 진단 방법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개별적인 운동능력을 평가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키운다. 또한, 운동재활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과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환자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재활과정을 지원하는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운동재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팀스포츠멘탈코칭 Team Sports Mental Coaching

팀스포츠멘탈코칭은 스포츠 선수들이 개인적인 성과를 극대화하고 팀의 성공을 이루기 위해 심리적인 지원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 중에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압박감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최상의 퍼포먼스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팀 스포츠의 특성상 선수와 선수, 선수와 코치, 선수와 감독, 선수와 팀, 코치와 감독 등 개인과 개인 혹은 개인과 단체들 간의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난다. 그에 따라 구성원들의 심리 상태도 다양하게 변한다. 이는 선수들이 신체적, 생리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요인도 개발하여 팀의 승리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담당부서 : 참빛인재대학 교학팀 / 연락처 : 02-940-8492~3
교육 KW University